본문 바로가기
Engineering[Work]/Mechanical Engineering

Stainless의 sensitization

by 테시오스_플랜트 2015. 10. 27.
반응형

해당 austenitic stainless steel
쉽게 말하면 ASTM A240의 300series SS를 통칭한다. 물론 몇몇은 숫자만 보고 판단하면 duplex계열로 들어가지만,
해당하는 stainless steel은 일반적으로 18%cr 8% Ni 로 main composition이 구성되어 있고 해당하는 Cr, Ni 의 combination이 우리가 알고있는 내부식성등의 효과를 준다.
단 이런 성질이 열에 의해 감소할 수 있는데 이를 sensitization이라하고 IGA 즉 intetgranular attack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 경우 grain boundary에서의 chromium depletion zone의 생성으로 인하여 해당 corrosion 이 생기는데, 이는 해당 온도에서의 carbon과 Cr 의 결합으로 carbide chromium이 생성되고 그 만큼 뺏긴 cr 만큼의 depletion zone 의 생성으로 이해하면 쉽다.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현장에서는

low carbon(0.03% 이하) L grade를 사용하거나 , titanium, niobium added ss의 사용이 추천된다. 공장에서는 quenching을 하거나, 재 얄처리하여 사용하는 방법(1950-2000F)도 고려된다.

728x90

'Engineering[Work] > Mechanical Engine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termination of Factor(F Factor의 결정)  (0) 2020.03.16
Hydrostatic requirement   (0) 2018.06.16
Welder qualification at site  (0) 2018.05.02
Golden weld  (0) 2015.02.22
MAWP 및 MOP에 대하여  (1) 2014.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