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33

API 571 Fixed equipment damage mechanism 해당하는 시험은 사실 on job의 Inspection engineer에게는 쉽다고 하면 쉽겠지만 실제로 damage mechanism을 작성해보지 않은 engineer에게는 말 자체가 이해하기가 쉽지 읺은 것이 사실이다. General 부분의 경우는 일반적은 engineering을 할때도 고려가 많이 되는 경우라, 일례로 creep damage, CUI, Graphitization, Cavitation, VIC 의 경우는 플랜트에 광범위하게 고려가 되는 편이지만, 실제로 refinery에서 사용되는 caustic injection, hydrogen injection 및 기타 amine treating 시스템 같음 경우는 operation에서 오는 damage 인 경우도 많기 때문에 실제를 겪지 않고서는.. 2015. 8. 31.
ASME interpretation 15-774 혹시나 하고 수압 온도 조절을 위하여 넣었던 interpretation에 대한 답변이 No로 접수되었다. 이로써 공식적으로 Tndt와 ASME PG-99의 연관성을 찾아보려던 시도는 끝나게 됨 ​ 어쩔수 없이 수압 온도는 무조건 70F 이상이여야 하는걸로 정리되었다. 이걸 추운 나라에서는 혹시 겨울에는 어떻게 해야하나 ㅠ 2015. 5. 29.
2015년도 하반기 도전 미국기술사를 하려고 한다. 먼저 하반기중에 FE을 취득후 내년 상반기에 metallurgy PE에 도전예정이다. 해당 자격증의 holder가 국내에 있나 모르겠다 도움을 좀 받고 싶은데 일단 handbook을 아마존 통해 구매하고자 한다. 일년에 11월에 혹은 4월에 한번 있는거 같은데 내년 계획이 몇월일지. 일단 FE부터 확보해놔야 겠다. 2015. 5. 29.
Pressure testing of vessel Vessel에 행하는 pressure testing의 주 목적에는 크게 보면 3가지가 있다. 그 목적은 하기와 같다. Governing clause of code ASME UG-99 1. A check for leakage under pressure 2. A check for major design, manufacturing or repair errors and the effect of corrosion of wall thinning 3. For new or substantially repaired vessel - Better circularity - Stress relieving 이 경우 흔히 말하는 safety operation envelop를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단 여러 damage mechan.. 2015. 5. 29.
Achieve Comprehensive Reliability by Combining RBI and RCM/ API 580 application case 하기는 흥미로운 내용 흔히 알고 있는 RBI 와 RCM의 겹합니다 synergy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단 EPC 입장에서 건설중에 RBI라는 개념을 이용해서 전체적인 point수를 줄이면서도, 전체적인 품질의 integrity를 향상시키는데 적절한 응용이 가능할거 같으며 이는 static적인 지식을 햠양해야 가능할 거 같다. Achieve Comprehensive Reliability by Combining RBI and RCM Introduction On a global scale, managers of refineries, chemical plants, and other industrial facilities constantly seek to develop and implement e.. 2015. 5. 16.
Maximum edge settlement 해당하는 API 653 관련하여 당연한 내용이었지만 실제 공부할때 읽고서 잘 이해가 되지 않았던 부분에 대하여 아래외 같이 posting한다 해당 내용을 알아야 실제로 검사 시 max 값을 적용하는 법을 정확히 selection 할 수 있다 해당 내용은 API 653 figure.12이다 ​ 상기 사진을 보면 해당 graph는 pependicular to the shell에 대한 max settlement를 나타내는데, 해당수직이라는 의미는 연필로 그렸듯이 해당 shell에 수직으로 붙는 bottom의 용접부위를 나타낸다. 이렇게 이해하는게 빠를거 같다. 참고로 해당 문제는 출제가 되었다. 2015. 4. 22.
API 시험 결과 방식 변경 예전에는 해당 윈도우 종료하고 8주 안에 발표난다던 시험들이 해당 시험이 끝나자마자 preliminary 결과를 알려주는 방식으로 변경됨 큰 변경이 review결과에 의해서 바뀌지 않는한 pass range에 있다고 어느정도 알려주는듯 하다. 뭐 시험은 당연히 합격 API 653 Holder 2015. 4. 4.
API 653 repair/alteration sequence API 653 9.2.2.2에서는 replacement plate의 requirement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해당하는 영역에서는 repair시 horozontal seam을 포함하는 부분에 대한 절개를 허용하고 있는데 re welding sequence는 아래와 같다. ​ 사진이 흐리게 나와있는데 horizontal seam을 추가적으로 12" cutting한다음 re plating 하고 vertical seam에 대한 용접작업을 먼저 수행한다. 이는 여러차례 공식에서도 보인바 있지만 용기에 가해지는 hoop stress에 대한 governing 때문으로 보인다. 그럼 chao 2015. 2. 25.
Golden weld Golden weld/ golden joint/ closure weld 다 같은 뜻입니다. 여건 상 압력테스트를 할 수 없는 용접부위를 일컬어 이렇게 상기와 같이 부릅니다. 가능한 NDE를 모두 적용하여, weldment의 건전성을 시험한다. 혹시나 계약적으로 정의가 되어 있지 않은 해당 시험 부위가 있으면 발주자와 협의하실때 참고하세요 2015. 2. 22.
API 653 Bottom plate min thickness 해당 Tank after in service code(미국내)에서 bottom plate라는 말이 나오면서 Min thinkness 와 Welding projection / critical zone이라는 용어가 나온다 해당하는 part는 butt welded angular ring 과 연결되는데 해당하는 부위의 용접에 대한 requirement가 나오는데 해당하는 부분은 아래와 같다. ​ 언듯보면 Bottom을 시공하지 않고서는 좀 이해가 어렵다 그럼 따라오는 그림을 보자 이해가 빨라진다 ​ 그럼 나머지것도 정리하면서 공부해보겠다 2015. 2. 13.
API 653 materal strength Vs API 650 다른 압력 container와 다르게 storage tank는 같은 yield 및 tensile에도 불구하고 margin을 달리해서 하기와 같이 T min을 구한다 ​ 해당내용은 상당히 흥미로운 점이다 Design margin에 대한 일괄적인 적용보다 margin을 자체적으로 낮춤으로 FFS의 개념에 더 접근하여 retirement thickness를 조정가능하다 2015. 2. 12.
API 570 합격 전체적인 점수는 91점으로 나쁘지는 않은데 특정과목의 점수가 낮다. ​ 디자인은 총 10문제중 7문제가 맞아 70점대 디자인에 치중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착각이었나? 좀더 열심히 해야겠다 2015. 1. 17.
API 653 sample exam API 653 의 해당 시험 일자는 4월 10일쯤로 잡았다 현재 업무의 load 가 조금 떨어지는 시점이 그쯤 되지 않을까 싶다 항상 하던데로 아래와 같이 준비하고 있다 1. API 관련 syllabulus 준비 2. 해당 code 구입 혹은 준비 3. 스케쥴 확인 4. Prometrics를 통하여 시험접수 이때 한가지 Tip이 있다면 시험 일자는 추가. 변동을 고려하여 최대한 뒤로 설정해 넣는다 한달이전에 변경은 at no cost 조건임 API 653 storage tank certified​ https://docs.google.com/file/d/0BxCJpev1qrg8aTNmSk5kald4N00/edit?usp=docslist_api 위 링크는 sample question 이다 해당 하는 시험은 .. 2015. 1. 17.
API 653 ICP effective sheet 2015년도 effective sheet 를 아래와 같이 붙임. 금년에 볼 마지막 API ICP가 될 예정 내년엔 metallurgy PE 취득예정임 ​ 해당 effective sheet 는 매년 갱신되며, 매년 첫달에 확인할 수 있다 해당하는 edition의 해당판 또한, 편집본은 흔히 시험본에 해당하는 판을 편집한 것을 techstreet에서 일괄로 구매가 가능하다 단, 취득 후 지속적으로 공부 및 업데이트가 필요하므로, 개인적인 경험으로 보았을때 전체 edition을 구매하여 공부하고, 그것으로 취득 후 공부를 이어나가는 것이 좋다 앞으로 야금학 및 압력용기에 대한 posting을 이어 나가도록 하겠다 2015. 1. 4.
API 시험비용 2015. 1. 1.
캔버스 뮤지엄 사은품 캔버스 뮤지엄에서 3 pieces 작품을 구매하고적절한 후기를 남긴다면 사진과 같이 득템을 무료로 할수가 있다 8*8 작품을 무료배송으로 신청하면 보내준다 실로 멋지다 ㅋ ​ 너무맘에 든다 2014. 12. 10.
FIDIC 관련 자가 교재 해당 교재를 가지고 예전에 강의한 자료를 첨부한다. Detail은 해당 내부 신입사원 강의시 구두로 설명하여서 내용이 빈약할 수 있으나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첨부한다. 2014. 12. 10.
CWI 에 대하여(Certified welding Inspector) 해당 자격증을 취득한지도 이제 2년차가 다 되어간다. 2015년도 해당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시는 분들이 있는거 같아 category만 만들어 놨다가해당하는 posting 을 아래와 같이 해본다. 해당하는 시험은 AWS 한국 Agent 인 한국용접협회에서 담당을 하고 있고,해당 접수 년월이 되면 신규 응시원서라는 것을 영문으로 작성하여 사진(Passport 용)과 함께 접수하면 된다. 그때 해당하는 돈과 함께 eye correction 검사를 받아 전체 서류로 접수하면 원활히 접수가 가능하다. 해당하는 format을 미리 전체 다운받아 작성이 가능하다. 다만 편의를 위하여 sample을 첨부했으니 참조하시기 바란다. 국내에서 하는 CWI 시험은 시험 전 일주일의 교육을 듣고 이수를 하는 것이 권고가 되고.. 2014. 12. 10.
MAWP 및 MOP에 대하여 maximum allowable working pressure흔히 얘기하는 압력중 하나이다 또한 design pressure와 가장 혼동되는 개념 사실 누구하나 정확하게 이야기해줄수 있는 사람이 없는거 같아. 지금까지 정리한점을 아래와 같이 남긴다 해당하는 유용한 자료가 있어 보면 좋을거 같다 이런 저런 설명보다 하나의 확실한 bulletin이더 낫으니까 첨부 자료 본다 기본적인 관계는 아래의 설명과 같다. 간혹 Section.I 에서의 정의는 다르다고 하는데 이는 명확한 Clarification을 접한바가 없다. M.A.W.P >= Design pressureDesign pressure : The pressure used for calculating the minimum thickness require.. 2014. 12. 5.
API 580 Certificate 공부 중 금년도 마지막 시험인 API 580 시험이 이제 코 앞으로 다가왔다. 목표인 한국 최다 Certificate Holder 달성을 위하여 금년도 시험의 마지막 고비를 넘겨야 하겠다. 해당 시험의 국내 수요가 많지 않으므로 단연 Source 또한 하나도 없다.여타 시험과 마찬가지로 STND를 충실히 반영한 공부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API 571과 같이 단일 STND Closed book 시험은 대개의 경우 난이도가 상이기 때문에 정신 차려야 하겠다. 상기 STND의 경우 operation-wise한 관점에서 중요한 practice라고 할수가 있다 Consequence 및 Risk basis한 관점으로 전체적인 검사 및 유지보수에 들어가는 Man-hour를 절감하는 효과를 볼수가 있다. 그러면서 E.. 2014. 1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