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amage mechanism4

Stainless(스테인레스) 부식관련하여(바닷물에서 왜 녹슬지?) 오늘은 스테인레스 Steel의 Corrosion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Stainless는 통상의 경우 녹이 슬지 않는 다고 나와 있습니다. 그래서 이름도 Stain-less로 지었지요. Stainless의 Corrosion 저항은 그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산화피막에서 나옵니다. 이 산화피막은 통상의 경우 아래와 같이 활동하며, Steel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며, Self repair 즉, 자가수복기능이 있습니다. 이 자가수복 기능은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Oxygen 즉 산소와 반응하면서, 다시 새로운 산화피막을 형성해서 Corrosion에서 보호하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Stainless의 특성은 특이한 Chemical Composition에서 오는데요. 주요한 Element는 Cr으.. 2020. 8. 13.
Reheat Cracking(재열균열) 이해하기 오늘은 재열균열 발생이유와 방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포스팅하겠습니다. 용접에 관련되어 일하시는 분들이라면 Reheat Crack에 대하여 많이 들어보셨을거라고 생각합니다. 흔히 PWHT(후열)이후에 발생하는 Crack이라고 이해하고 계실텐데요. 후열을 포함하여 공정중이나 후에 용접이나 열처리에서 발생하는 열이 HAZ와 용접부위에 Chrome depletion을 야기하여 강도가 저하되어 Grain Boundary에서 일어나는 결함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API 571 4.2.19항 Description을 참조하면, Heavy wall section에서 399℃이상의 온도에서 취약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Low alloy steel, Cr-Mo-V강, 300series SS 그리고 Nickel .. 2020. 7. 2.
API 571 correlation study Temper embrittlement에 대한 article을 하기와 같이 살펴보자. 해당하는 damage mechanism을 극복하는 방법은 matallurgy upgrade가 가장 효과적이지만 existing plant에는 온도관리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Temper embrittlement is another form of metallurgical degradation resulting from exposure of susceptible low alloy steels to higher temperature ranges, usually in service, but can occur to some extent even during heat treatment. And, once again, if sig.. 2015. 9. 3.
API 571 Fixed equipment damage mechanism 해당하는 시험은 사실 on job의 Inspection engineer에게는 쉽다고 하면 쉽겠지만 실제로 damage mechanism을 작성해보지 않은 engineer에게는 말 자체가 이해하기가 쉽지 읺은 것이 사실이다. General 부분의 경우는 일반적은 engineering을 할때도 고려가 많이 되는 경우라, 일례로 creep damage, CUI, Graphitization, Cavitation, VIC 의 경우는 플랜트에 광범위하게 고려가 되는 편이지만, 실제로 refinery에서 사용되는 caustic injection, hydrogen injection 및 기타 amine treating 시스템 같음 경우는 operation에서 오는 damage 인 경우도 많기 때문에 실제를 겪지 않고서는.. 2015. 8. 31.
반응형